My paper(국내)

전남 화순군 서유리에서 산출된 수각류 공룡 발자국:산상 및 고생물학적 의

천만도2 2009. 4. 10. 08:37

허 민,․백인성,정철환,황구근,김보성, 2003.  전남 화순군 서유리에서 산출된 수각류 공룡 발자국:산상 및 고생물학적 의의.

지질학회지 제 39 권 제 4 호, p. 461-478

화순군 서유리 수각류 공룡발자국.pdf

 

전남 화순군 서유리의 백악기 능주층군에 해당하는 한 채석장에서 60여개의 보행열을 포함하 는 약 1,500 여점의 잘 보존된 공룡 발자국 화석이 발굴되었다. 이 지역에서는 국내 다른 공룡화 석지와는 달리 수각류 발자국이 대부분을 이루고 있으며, 특히 소형 수각류 발자국이 우세하게 산출되었다. 산출된 수각류 발자국들은 다양한 크기와 형태 및 발가락 각도를 보이며 각기 특징 적인 보행렬를 이루고 있다. 이들 수각류 발자국은 그 형태적 특징에 따라 크게 3개 유형으로 구분 되는데, 첫 번째 유형은 작은 발자국 크기와 넓은 발가락 각도 및 매우 가는 발가락이 특징적이며 Magnoavipes 에 비교할 수 있다. 두 번째 유형은 첫 번째 유형보다 더 굵은 발가락 및 좁은 발톱자 국 (toe impression)을 보이는데 Ornithomimipus나 Xiangxipus 와 매우 유사하다. 세 번째 유형은 대형 수각류 발자국으로서 날카로운 발톱 흔적이 뚜렷하다. 추정된 공룡의 몸체 크기는 지면에서 골반까지 의 높이가 68.4-194.5 cm의 범위를 나타내는 소형 수각류에서부터 최대 260.9 cm를 보이는 대형 수 각류까지 비교적 폭넓게 나타나고 있다. 다양한 발자국 형태 및 몸체 크기를 고려해 볼 때, 연구지역 이 백악기 당시 여러 종류의 수각류가 활동했던 수각류의 서식공간이었을 가능성을 제시해 주고 있 다. 보행속도 분석을 통하여 소형 수각류는 대체로 속보(trotting)에 해당하는 반면 대형 수각류는 천 천히 걷는 보행(walking)을 했던 것으로 생각된다. 일부 보행렬에서는 비정상적인 걸음걸이 및 기형적 인 보행자세를 보이는 등 전반적으로 다양한 형태의 보행 습성을 보여주고 있다.
주요어: 백악기, 능주층군, 수각류 공룡발자국, 보행습성

Approximately well-preserved 1500 dinosaur footprints and 60 trackways were excavated from the Cretaceous Neungju Group in Seoyuri, Hwasun, Jeollanamdo, Korea. Most of the tracks are those of theropod and small theropod tracks are prevailing. The tracks show significant variation in size, morphology and divarication. on the basis of morphology and size, the theropod tracks are classified into three types. The first type characterized by small size, wide divarication and slender digits. They may be more closely compared to Magnoavipes. The second type shows slightly thicker digits than the first one and narrow toe impression, and is similar to Ornithomimipus or Xiangxipus. The third type is the large theropod footprints with distinct and sharp claw impressions. The variety of footprint sizes, the calculated body sizes and the morphotypes indicate that several theropods with various gait habitat inhabited in the study area during the Cretaceous. on the basis of speed and gait analyses, it is inferred that small theropods trotted and large theropods walked slowly.
Key words: Cretaceous, Neungju Group, theropod tracks, gait habitat

화순군 서유리 수각류 공룡발자국.pdf
1.69MB