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 | 한반도 익룡화석에 대한 고찰: 산상과 고생태학적 중요성 | ||||
학 회 지 | 대한지질학회 | 저 자 | 허민, 황구근, 백인성, 박준, 김보성, 이대길 | ||
년 도 | 2005 | 권 / 호 | / | 쪽 | 75~ |
연구수행기관 | 전남대 지구환경과학부 & 한국공룡연구센터, 부경대 지질환경과학과, 포자연사박물관 | 원문형태 | PDF파일다운로드 | ||
키 워 드 | 한반도, 익룡화석, 이빨화석 |
한반도에서 익룡화석은 전남 해남, 경남 하동, 경북 고령 등지의 백악기층에서 발견되었다.
이들은 익룡발자국, 날개뼈, 이빨화석들로 매우 다양하다. 해남 익룡발자국은 440여개로 세계
최대 규모의 익룡발자국 산지로 평가되고 있으며, 발자국 가운데 일부는 Haenamichnus uhangriensis라는
새로운 종명이 부여되었다. 경남 하동 익룡날개뼈는 비록 완전한 상태는 아니나,
연구 결과 중국의 백악기 초기 지층에서 발견된 Dsungaripterus weii의 날개뼈와 유사한 것으
로 해석되었다. 경북 고령 대형 익룡 이빨화석은 이빨의 크기가 기존에 알려진 것보다 1.5∼2
배 정도 큰 것으로 미루어 볼 때 이빨의 주인공은 초대형 익룡으로 판단되고 있다. 한반도에서
익룡화석이 매우 다양하게 발견되고, 동일 층준에서 어류, 연체동물 등 다른 화석들이 발견되
고 있고 있음을 볼 때, 한반도는 더욱 새로운 익룡화석이 발견될 가능성이 크며, 아울러 중생대
익룡 연구와 고생태 연구에 중요한 지역으로 생각되어지고 있다.
'My abstract' 카테고리의 다른 글
제 목 남한의 공룡알화석 : 산출 현황과 고생물학적 의미 (0) | 2009.04.11 |
---|---|
제 목 경남 창녕 도천리에서 발견된 특이한 형태의 용각류 공룡발자국 (0) | 2009.04.11 |
제 목 경상남도 창녕군 도천리의 진동층에 발달된 증발암광물 캐스트에 (0) | 2009.04.11 |
전남 화순군 서유리에서 산출된 수각류 공룡 발자국: 산상 및 고생물학적 (0) | 2009.04.11 |
Dinosaur Tracks from the Cretaceous of South Korea: Distribution, Occu (0) | 2009.04.1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