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y paper(국내)

2004. 경상남도 창녕군 도천리의 백악기 진동층에서

천만도2 2009. 4. 10. 21:36

황구근, 허민, 백인성, 2004. 경상남도 창녕군 도천리의 백악기 진동층에서 산출된 용각류 공룡의 보행열, 대한지질학회지 40 (2). p145-159.

 


창녕군 도천리의 진동층에서 최대 40 m 길이의 보행열을 포함하는 연장성이 좋은 10개의 보행열이 발견되었다. 잘 보존된 앞발자국은 발가락과 발톱자국이 구분되며 이 중 I번 발가락 자국은 보행열 중심으로 향하고 나머지 발가락은 보행열 외곽 쪽으로 향하고 있어 도천리의 앞발자국은 그 동안 보고 된 용각류 앞발자국의 뒤쪽 돌출부가 I번 발가락 자국임을 지시하여 준다. 이와 같은 발가락 자국의 배열은 용각류의 앞발의 II번부터 IV까지 발가락이 한 묶음으로 되어있다는 지금까지의 견해와 다름을 보여준다. 앞발자국과 뒷발자국의 크기는 유사하며, 뒷발자국에서는 보행열 외곽으로 돌려 찍힌 4개의 발톱이 구분된다. 10개 보행열을 남긴 용각류는 골반까지의 높이가 평균 1.4 m로 같은 방향으로 서로 유기적인 관계를 보이며 평균 0.68 m/s의 속도로 무리지어 이동하던 용각류 공룡에 의해 남겨진 것으로 해석된다.
주요어: 백악기 용각류, 공룡발자국, 진동층, 발가락 자국, 무리이동


Ten sauropod trackways were recognized from the Cretaceous Jindong Formation, Docheonri, Changnyeong-gun, Gyeongsangnam-do, Korea. The longest trackway among them is 40 m in length. Manus footprints have distinct digit I impression directed to trackway midline with well-preserved claw mark. It indicates that a backward lobe of previous reported manus footprints is digit I impression, which provides different evidence from previous view that manus digits II~IV were bound together in a pad. Pes footprints with four claw impressions showing outward turning are similar to manus prints in size. The average hip height and moving velocity of track-makers are calculated 1.4 m and 0.68 m/s, respectively. It is inferred that Docheonri sauropod trackways showing similar directions and speeds were made by gregarious sauropods.
Key words: Sauropod, dinosaur footprint, Jindong Formation, Docheon-ri, Cretaceous Period



경상남도 창녕군 도천리의 백악기 진동층에서 산출된 용각류 공룡의 보행열.pdf


경상남도 창녕군 도천리의 백악기 진동층에서 산출된 용각류 공룡의 보행열.pdf
2.25MB