황 구 근 (Dr. Hwang Koo-Geun) / E-mail /
전남대학고 한국 공룡연구소 (Korea Dinosaur Research Center)
전라남도 교육청 교사 교감 교장
주 요 업 적 ---------------------------------------------------------------------
- 아시아 최초 익룡발자국 1속 1종학명 부여 (Haenamichnus uhangiensis): 세계에서 3번째 익룡 발자국 속명
- 중생대말 출현한 거대 익룡의 발자국인 세계 최대크기 익룡 발자국보고
- 세계에서 가장 긴 익룡 보행열 보고로 거대 익룡이 4족 보행에 익숙함을 증명.
- 국내 해남, 화순, 마산, 여수, 창녕 공룡 화석지와 지구과학교육 연구
- 마퀴스 후스후가 발행하는 인명사전 Who’s Who in the World 2018년/ Who's Who in Science & Enginering 2006~2007 년 등재/ Who's Who in Asia 2007년 등재/ IBC (international Biographical Centre Cambridge, England)발행 International educator of the year 2008 로 선정.
Ph.D. Thesis
---------------------------------------------------------------------------------
[Scientific Plub.][International]
1. Hwang, K. G., Huh, M., Lockley, M., Unwin, D. 2002(7), New pterosaur tracks(Pteraichnidae) from the Late Cretaceous Uhangri Formation, SW Korea. Geological Magazine(Journal), 139(4), 421-435. (SCI)
2. Huh, M., Hwang, K. G., Paik, I. S., Chung, C. H., 2003, Dinosaur tracks from the Cretaceous of South Korea: distribution, occurrence and its paleobiological significance. The Island Arc, 12, 132-144. (SCI)
3. Huh, M., Paik, I. S., Lockley, M. G., Hwang, K. G., Kim, B. S and Kwak, S. K., 2006. Well-preserved theropod tracks from the Upper Cretaceous of Hwasun County, southwestern South Korea, and their paleobiological implications. Cretaceous research 27, p. 123-138.(SCI)
4. Paik, I. S., Huh M., Park, K. H., Hwang, K. G., Kim, K, S., Kim, H. J., 2006. Yeosu dinosaur track sites of Korea: The youngest dinosaur track records in Asia. Journal of Asian Earth Sciences 28. 457-468 (SCI).
5. Hwang, K. G., Lockley, G. M., Huh, M., Paik, I. S., 2008, A reinterpretation of dinosaur footprints with internal ridges from the Upper Cretaceous Uhangri Formation, Korea. Palaeogeography, Palaeoclimatology, Palaeoecology 258. 59-70 (SCI).
6. Martin G. Lockley, Jong-Deock Lim, Jeong Yul Kim, Kyung Soo Kim, Min Huh, Koo-Geun Hwang Tracking Korea's Early Birds: A Review of Cretaceous Avian Ichnology and Its Implications for Evolution and Behavior Ichnos Vol. 19, Iss. 1-2, 2012
7. Martin G. Lockley, Min Huh, Se-Geon Gwak, Koo Geun Hwang, In Sung Paik, Multiple Tracksites with Parallel Trackways from the Cretaceous of the Yeosu City Area Korea: Implications for Gregarious Behavior in Ornithopod and Sauropod Dinosaurs Ichnos Vol. 19, Iss. 1-2, 2012
8. Nicholas J. Minter, Martin G. Lockley, Min Huh, Koo-Geun Hwang, Jeong Yul Kim, Lithographus, an Abundant Arthropod Trackway from the Cretaceous Haenam Tracksite of Korea, Ichnos Vol. 19, Iss. 1-2, 2012
[Scientific Publ.][The county]
1. Huh, M., Lim, S, K., Yang, S, Y. and Hwang, G, K., 1997(9), A preliminary Report on Cretaceous Dinosaur Tracks from the Uhangri Formation, Haenam, Korea. Jour. Paleo. Soc. Korea, Special Publication, No.2, 1-16.
2. 황구근, 허민, 백인성. 2002. 마산시 호계리 부근의 백악기 진동층에서 산출된 용각류 발자국화석. 대한지질학회지 38 (3), p.361-375.
4. 황구근, 허민, 백인성, 2004. 경상남도 창녕군 도천리의 백악기 진동층에서 산출된 용각류 공룡의 보행열, 대한지질학회지 40 (2). p145-159.
5. 허민, 황구근. 2004. 한국 고생물: 익룡. 한국고생물학회 특별호 7집. p.305-318.
6. 허민, 황구근. 2004. 한국 고생물: 공룡발자국(전남지역을 중심으로). 한국고생물학회 특별호 7집. p.319-335.
7. 황구근, 허 민, 백인성, 2006, 화순 서유리에서 발견된 소형 수각류 공룡의 특이 보행렬. 대한지질학회지 42 (6). p 69-78.
8. 허민, 백인성, 박준, 황구근, 이용일, 양승영, 임종덕, 이영엽, 정대교, 박계헌, 문기현, 2006, 남한의 공룡알화석 산출 현황, 대한지질학회지 42(4), 523-548.
9. 황구근, 정규성, 허민, 2009, 화석형성과정에 대한 중학생들의 이해. 한국지구과학회지 30 (3), 305-316.
[Sciencific Plub.][The other]
- 1. 황구근, 2000 우항리 고생물 화석지를 찾아서, 광주YMCA, 5-31.
- 2. 황구근, 2000. 우항리 고생물 화석지, 경기도 중등과학교육연구회, 39-59.
- 3. 황구근, 2001. 현장체험 및 과학작품, 전남대학교 과학교육연구소, 150-151.
- 4. 황구근, 2002, 한반도 중생대 족흔화석지, 장학자료 과실 2002-2, 전라남도교육청, 101-119.
- 5. 황구근, 2002, 한반도 중생대 족흔 화석, 장학자료 과실 2002-41, 전라남도 교육청, 79-94.
- 6. 황구근, 2004, 경남 고령 중생대층, 전남 과학교원 현장연구, 전라남도 교육청, 4-6.
- 7. 황구근, 2004, 밀양 얼음골, 전남 과학교원 현장연구, 전라남도 교육청, 35-37.
- 8. 황구근 2004, 마산 용각류 공룡 발자국 탐사, 전남 과학교원 현장연구, 전라남도 교육청, 63-72.
- 9. 황구근 2003. 중생대 익룡과 족흔화석, 전라남도 과학교육소식 과학논단, 전라남도교육과학연수원, 26-
- 10. 황구근, 박준, 2007. 공룡탐사를 떠나자 1억년전 한반도, 공룡의 왕국, 공룡화석연구팀. 55.
- 11. 황구근 2008.'2008 부산의 과학' 독서퀴즈골든벨: 우항리 공룡 화석지. 부산과학기술협의회, 5-14
- 12. 황구근 2010 중생대 공룡화석지 탐사 및 지질구조연구, 인천 지구과학교과연구회, 72p.
- 13. 황구근 2011. 서울시 지구과학교과연구회
[Books]
- 1. 황구근, 2004. 트리케라톱스 /코북
- 2. 황구근. 2006. 핫토픽 시리즈 (공룡) 감수/삼성출판사
- 3. 허민, 황구근, 박준, 임종덕, 김정률, 백인성, 김경식, 양승영, 서승조, 조도순, 이광춘, 한국백악기공룡해안 유네스코 세계유산 등재추진 2008 남해안 공룡화석지 종합학술조사. 전라남도.전남대학교 한국공룡연구센터. p.466
- 4. Huh M., Hwang, K.-G., Park, J., Lim, J.-D., Kim, J.-R., Paik, I.-S., Kim, K.-S., Yang, S.-Y., Seo, S.-J., Cho, D.-S., Lee, K.-C., Korean Cretaceous Dinosaur Coast (A scientific report on Korean Cretaceous Dinosaur Coast for UNESCO world heritage Inscription). Jeollanam-do, & Korea Dinosaur Research Center, p.450
- 5. 허민, 백인성, 황구근. 2011. 제주도 사람발자국 화석 구제발굴 보고서
- 5. 황구근 2010. 교과서가 보이는 자연의 신비 중에서 별책 8. 이제는 볼 수 없는 공룡1 / (주)교원
- 6. 황구근 2010 교과서가 보이는 자연의 신비 중에서 별책 9. 이제는 볼 수 없는 공룡2 / (주)교원
- 7. 황구근 2011 눈으로 보는 과학 : 바다 / (주)교원
- 8. 황구근 2011. 눈으로 보는 과학 : 과거의 생태계 / (주)교원
[Proceedings/International]
- 1.Huh, M., Lim, S. K., Yang, S. Y and Hwang, G. K./ A Preliminary Report on Cretaceous Dinosaur Tracks from the Uhangri Formation, Haemam, Korea/The Dinosaur International Symposium/Korea/Proceedings of International Dinosaur Symposium for Uhangri Dinosaur Center and Theme Park in Korea/Chonnam National University Museum/Kwangju, Korea/1997(9). p.23-38
- 2. Huh, M., Lockley, M. G., Hwang, K. G., Paik, I. S., and Park, J. P.. 2007. Flying around ancient volcanoes: observations on the importance of ancient bird and pterosaur tracks from the Uhangri area, Haenam-gun, Jeollanam-do, southwestern, Korea. 2007 Haenam Uhangri international dinosaur symposium.Uhangri dinosaur museum, Haenam, Korea/April 27, 2007 p.257-282.
- 3. Hwang, K-G, 2008. The vertebrate tracks from the Cretaceous Uhangri Formation, Haenam SW Korea. The 4th Cheongwoon International Symposium Gyeryongsan Naural History Museum. Gongju, Korea. September 20-22, 2008. p.32-33.(abstract)
- 4. Hwang, K-G. Lockley, Martin G., Huh, M. 2012 Reviews on the interpretations of the dinosaur footprint with internal ridges from the upper Cretaceous Uhangri Formation, Korea.The 11th Symposium on Mesozoic Terrestrial Ecosystems. Kimdaejung Convention Center, Gwangju City, Korea. August 15th-18th, 2012. p. 413-416.
[Proceedings/The county]
- 1. 해남 우항리층의 공룡발자국 화석에 관한 예비 연구/ 1997년 전라남도 국제학술심포지음./ The international dinosaur sysposium for the Uhanrgi dinosaur center and theme park in Korea/ 전남대학교 국제회의동. 해남우항리공룡화석지/1997. 9. 3-5/허민, 임성규, 양승영, 황구근/ 7-38.
- 2. Dinosaur fauna from Cretaceous of Korea: distribution, Occurrence and it's paleontological significance/ 2000년 자원개발연구소 학술심포지움/ Sedimentary Geology and dinosaur of Korea Peninsula/ 강원대학교 자원개발연구소/ 2001. 12. 5/허민, 백인성, 황구근, 김보성/ 36-40
- 3. 백악기 해남 우항리층에서 산출된 척추동물의 발자국들/ 제4회 청운 국제학술심포지움/Cheongwoon International Symposium/계룡산 자연사 박물관/ 2008. 9. 20-22/32-33.
- 4. 해남 우항리층에서 산출된 생흔화석/ Trace fossils from the Upper Cretaceous Uhangri Formation/한국고생물학회 2011 추계답사 학술자료집/한국고생물학회/해남 우항리 공룡박물관/2011.11.17~1.18./ 55p.
[Published Abstracts/International]
- 1. Huh, M., Hwang, K. G., Currie, P. J., Lockley, M. G. and Paik, I. S./Dinosaur and Pterosaur Tracks from the Late Cretaceous Uhangri Formation, SW Korea/60th Annual Meeting, SVP/ Mexico city, Mexico/2000.10/50A
- 2. Huh, M., Paik, I., S., Hwang, K. G., Park, J./Dinosaur fauna from the Cretaceous of Korea: distribution, occurrence and its paleontological significance/ 8th Int'l symposium on Mesozoic Terrestrial Ecosystem/Cape Town, South Africa/2002. 7.21-26/47p
- 3. Huh, M., Hwang, K. G., Paik, I. S. & Chang, C. H./ Dinosaur Tracks from the Cretaceous of South Korea: distribution, occurrence and paleobiological significance/the 4-th international symposium of IGCP 43/4Khabarovosk, Russia/2002.9.3-12/48p
- 4. Huh, M., Hwang, K. G., Paik, I. S., Chung, C. H. and Park, J/Cretaceous Dinosaur Tracks of South Korea/63th Annual Meeting, SVP/ St. Paul, Minnesota, USA/2003.10/63A
- 5. Paik, I. S., Huh, M., Park, K. H., Hwang, G. K., Kim, K. S. and Kim, H. J./ Yesou dinosaur tracks site of Korea: the last dinosaur track records in Asia/ Ichnia2004, 1st International Congress on Ichnology/ Trelew, Patagonia Argentina/2004.4/64
- 6. Huh, M., Paik, I. S., Hwang, K. G. and Park, J./ Theropod tracks from seoyuri in Hwasun, Jeollanam-do, Korea: occurrence and paleontological significance/ Ichnia2004, 1st International Congress on Ichnology/ Trelew, Patagonia Argentina/2004.4/41
- 7. Huh, M., Paik, I. S., Hwang, K. G., Park, J and Kwak, S. K/ Theropod tracks from seoyuri in Hwasun, Jeollanam-do, Korea: occurrence and paleontological significance/ The 11th Sino-Korea Joint Symposium on Creustal Evolution in Northeast Asia/Changchun, China/ 2004. 7. 5-9/4
- 8. Huh, M., Paik, I. S., Hwang, K. G. and Park J., 2002. Dinosaur fauna From the Cretaceous of Korea: Distribution, Occurrence and its paleontological significance. 8th International symposium on Mesozoic terrestrial ecosystems. Cape Town, South Africa. p.47.
- 9. Hyun Joo Kim, In Sung Paik, Min Huh, Koo Geun Hwang Deformation structures in the Cretaceous bird track-bearing deposits at Saokdo, South Korea: occurrences and origins/ PALEOCLIMATES OF THE CRETACEOUS IN ASIA AND THEIR GLOBAL CORRELATION/ 6th Symposium of the International Geoscience Program IGCP 507/August 15-20, 2011, Beijing, China p.41.
[Published Abstracts/The county]
- 1. 허민, 이융남, 양승영, 황구근, 김정률, 김정빈, 전승수/ 해남우항리 고생물화석지 발굴조사/ 제53차 대한지질학회 학술발표회/ 부산대학교/ 1998.11.5-7
- 2. 허민, 황구근, P. J. Currie, 이융남 / Ornithopod Dinosaur Tracks from the Late Cretaceous Uhangri Formation /제 54차 대한지질학회 학술발표회 / 대호농어민복지센타 /1999.11.3-5
- 3. 황구근, 허민 / The Walking Gait of Pterosaur, as determined from Tracks from the Late Cretaceous Uhangri Formation / 제 54차 대한지질학회 학술발표회 / 대호농어민복지센타 / 1999.11.3-5.
- 4. 황구근, 허민 / 익룡의 보행자세에 관한 연구 / 제 16차 한국고생물학회 학술발표회 / 제주도 민속자연사박물관 / 2000.2.17-18
- 5. 황구근, 허민, Lockley, M., Unwin. D. and Wright, J./ New Pterosaur Tracks(Pteraichnidae) from the Late Cretaceous Uhangri Formation, south-west Korea/제 17차 한국고생물학회 학술발표회/ 상지대학교/ 2001. 2. 16-17
- 6. 김보성, 허민, 황구근, 손송이/ 한반도 공룡족흔화석을 이용한 공룡의 보행자세에 관한 예비연구/제 17차 한국고생물학회 학술발표회/ 상지대학교/ 2001. 2. 16-17
- 7. Hwang, K. G., Huh, M., Lockley, M. G., Unwin, D. M., Paik, I. S./ New pterosaur tracks (pteraichnidae) from the Late Cretaceous Uhangri Formation/ 제 56차 대한지질학회 학술발표회/ 경북대학교/ 2001. 10. 26-27
- 8. Huh, M., Hwang, K. G., Paik, I. S., Chung, C. H., Kim, B. S./Dinosaur tracks from the Cretaceous of South Korea: distribution, occurrence and its paleobiological significance/제 57차 대한지질학회 학술발표회/ 공주대학교/ 2002. 10. 25-26.
- 9. 허민, 백인성, 정철환, 황구근, 김보성/ 전남 화순군 서유리에서 산출된 수각류공룡발자국: 산상 및 고생물학적 의의/제 58차 대한지질학회 학술발표회/ 안동대학교/ 2003. 10. 24-25.
- 10. Paik, I. S., Huh, M., Park, K. H., Kim. H. J., Hwang, K. G. and Kim. K. S./ Yeosu dinosaur track site of Korea: the last dinosaur track records in Asia/제 58차 대한지질학회 학술발표회/ 안동대학교/ 2003. 10. 24-25.
- 11. 백인성 이정은 소윤환 황구근 허 민, 2004. 경상남도 창녕군 도천리의 진동층에 발달된 증발암광물 캐스트에 대한 예비연구// 2004대한지질학회 추계학술발표회/ 한국지질자원연구원/ 2004. 10. 29-30.
- 12. 황구근, 허민, 백인성, 곽세건, 정진우, 문기현. 2005. 경남 창녕 도천리에서 발견된 특이한 형태의 용각류 공룡발자국과 보행열/ 2005대한지질학회 추계학술발표회/ 경상대학교/ 2005. 10. 28-29.
- 13. 허 민, 황구근 백인성 박준김보성 이대길,2005. 한반도 익룡화석에 대한 고찰: 산상과 고생태학적 중요성// 2005대한지질학회 추계학술발표회/ 경상대학교/ 2005. 10. 28-29.
- 14. Min Huh, In Sung Paik, Koo Geun Hwang, June Park, Bo Seong Kim, Yong Il Lee, Jong Deock Lim, Kyung Sik Kim, Kye Hun Park, Yong Up Lee, Daekyo Cheong, Seong Young Yang, Se Keong Kwak, Ki Hyun Moon, Dae Gil Lee/ A Global view of the Cretaceous dinosaur from South Korea/ 대한지질학회 추계학술발표회/한국지질자원연구원/2006. 10.26-27.
- 15. 황구근, 허민. 백악기 우항리층에서 산출된 줄기를 포함하는 공룡 발자국. 2007년도 한국고생물학회 학술발표회/전남대학교/2007.2.21-22.
- 16. 박준, 허민, 백인성, 황구근, 양승영, 임종덕, 서승조, Shen Jing. 남한의 공룡알화석 : 산출 현황과 고생물학적 의미.2007년도 한국고생물학회 학술발표회/전남대학교/2007.2.21-22.
- 17. 황구근, 조규성. 2008. 화석의 생성과정에 관한 교과분석과 중학생들의 인식. 2008 한국현장과학교육학회 정기총회 및 학술대회. 세종과학고등학교. 2008.8.23.
- 18. 황구근, 설장규, 허민, 김봉희, Lockley, M., 조석희. 2010. 전남 신안군 사옥도에서 발견된 고생물 화석. 2010년도 한국고생물학회 정기총회 및 학술발표회/공주대학교/2010.2.23-24.
- 19 Jin-Young Park, Min Huh, 2013. Koo Geun Hwang. Diverse Pterosaur fossils from the Cretaceous of South Korea/ 지구과학회
[Work Experience]
- 1. 1996. 7-1998. 8/ 해남 공룡화석지 발굴 및 연구 참여/문체부.전라남도.해남군
- 2. 1997. 7-1997. 10/ 국제심포지움 참가/해남우항리 공룡테마파크 조성을 위한 심포지움 참가/광주/한국
- 3. 1999. 7-1999. 10/화순공룡화석지 기초학술조사 참여/화순군
- 4. 1999. 8. 1. - 15. / Field Experience' 99 / The Royal Tyrrell Museum of Palaeontology/ Canada.
- 5. 2002. 5-2002. 10/여수공룡화석지 종합학술조사 참여/여수시
- 6. 2003. 7-2003. 11/해남 우항리 필드북 저술/해남군
- 7. 2003. 7-2003. 8/몽골고비사막 공룡 탐험 참여/전남대학교 세계교육기행
- 8. 2002. 8-2004. 6/남지-영산간 국도확포장 공사구간 내 공룡화석 발굴조사 참여/부산지방국토관리청
- 9. 2003. 12-현재/ 보성비봉리공룡알화석지 발굴 및 학술조사 참여/보성군
- 10. 2004. 1 - 2004. 12 해남 우항리 퇴적층조사 및 화석복원 참여/해남군
- 11. 2008. 9. 20-22. 청송 국제 심포지움에 참가 / 계룡산 박물관
- 12. 2008. 유네스코 자연유산 지정을 위한 연구/전라남도 한국공룡연구소
- 13, 2011. 02 제주 사람발자국 및 동물발자국 화석 산지 구제 발굴 최종 보고서 / 전남대 한국공룡연구센터, 제주특별자치도 서귀포시청.
- 13. 2017. 6, 청송국가지질공원 신성리 공룡발자국 화석산지 학술조사 자문
[Non-Technical Publications]
1. 황구근, 2001, 하늘을 지배한 공룡의 친구들, 과학소년 (11), 교원, 23-39.
2. 황구근, 2003. 땅끝에서 만난 공룡의 흔적들, 과학소년 (2), 교원, 52-57.
3. 황구근, 2005 익룡은 네 발로 걸었다. 과학동아 (7), 동아사이언스, p. 81-85
[Award]
1993 전국과학전람회 우수상 - 황구근 송남옥 조간대에서 해수의 재동작용에 관한 연구
1999 전국과학전람회 최우수상 - 익룡의 보행자세 관한 연구
2005 부총리 및 교육인적자원부 장관 표창 - 스승의 날 표창
2006 전남 과학전람회 학생작 특상 -
2007 전국과학전람회 특상 - 황구근, 박준 대형육식공룡의 공격으로 남겨진 보행열 연구
2012. 05. 12 교육감 표창 -제 31회 스승의날 표창 제 2016호
2012. 11.29 장관급기관장 표창 - 융합인재교육(STEAM) 우수교원 제11307호
2013. 01. 02 교육장 표창 - 교수학습방법개선 등으로 여수교육발전기여 제 2680호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