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테고리 없음

[스크랩] OECD 학업성취도 국제비교연구(PISA 2006) 결과

천만도2 2008. 1. 20. 17:32
 

대한민국, OECD PISA에서 높은 교육 성취수준 달성

OECD 학업성취도 국제 비교 연구(PISA 2006) 주요 결과 발표

 

 

 

○ PISA 2006 결과, 우리나라 만 15세 학생(고등학교 1학년)의 읽기 능력은 OECD 국가 중 1위, 수학은 1~2위, 과학은 5~9위로서 OECD 회원국 중에서 높은 성취수준을 보인 나라로 확인되었다.

 

우리나라 최상위권(상위 5%)에 속하는 학생의 순위도 읽기 1위, 수학 2위로 나타나, 2001년 PISA PLUS보다 대폭 상승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 최상위권 학생의 읽기 추이 : PISA PLUS(21위)→PISA 2003(7위)→PISA 2006(1위)


  ※ 최상위권 학생의 수학 추이 : PISA PLUS(6위)→PISA 2003(3위)→PISA 2006(2위)

 

○ 이러한 점은 읽기와 수학의 소양 수준 추이에서도 동일하게 확인되고 있다.

 

  ※ 최상위 수준(5수준) 학생의 읽기 추이 : PISA PLUS(21위)→PISA 2003(7위)→PISA 2006(1위)


  ※ 최상위 수준(6수준) 학생의 수학 추이 : PISA 2003(4위)→PISA 2006(2위)

 

○ 다만, 과학은 PISA 2003에 비해 하락하였는바, 향후 이에 대한 체계적인 분석과 논의가 필요할 것으로 보이며,

 

  ※ 과학 순위 : PISA PLUS(1위), PISA 2003(4위)

 

○ 과학에 대한 태도에 있어 우리나라 학생들이 “과학에 대한 일반적인 가치”는 긍정적으로 인식하고 있으나, 과학에 대한 흥미와 즐거움이 상대적으로 낮게 나타나는 점에 대해서도 대책 마련이 요구된다.

 

○ 이번 PISA 2006 결과는 OECD가 총 57개국(회원국 30개국 포함) 약 40만명을 대상으로 조사한 학업성취도 국제비교 연구결과로서, OECD는 ´07년 12월 4일 10:00(Paris 시각)에 PISA 2006 결과를 공식 발표할 예정이다.

 

출처 : 한국교육과정평가원

출처 : king of HRD
글쓴이 : 서준호 원글보기
메모 : pisa 관련 정보 스크랩합니다.